나도 경계성 인격장애일까? 테스트 하기
- 카테고리 없음
- 2021. 3. 31.
하루에도 수십번씩 울다 웃다를 반복한다는 경계성 인격장애에 대해서 알고 계신가요? 감정의 기복이 심해서 우울하다 갑자기 심하게 화를 내는 경우가 있다면 한 번쯤 의심해야 봐야 합니다.
경계성 인격장애란?
정서가 불안정하고 감정의 기복이 매우 심한 인격장애로 만성적인 권태감과 공허감을 느낍니다. 자제력이 부족하고 충동적이어서 인간관계가 불안정하며 자해 및 자살 행위의 빈도가 높습니다. 스스로 타인에 대한 평가가 일관되지 않고 변화무쌍한 모습을 보입니다.
왜 생기는 걸까?
경계성 인격장애는 한 가지 요인 때문이 아니라 각 요인이 모두 영향을 미쳐 발병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 환경적 요인 : 아동기 신체 및 성적 학대
- 유전적 요인 : 가족 중 우울증이나 경계성 인격장애 환자 존재
- 생물학적 요인 : 특정 뇌 영역 크기와 기능 변화, 호르몬 수준과 면역 체계의 변화
경계성 인격장애 테스트
다음 항목 중 다섯 가지 이상을 충족한다면 가까운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보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조현병이나 기분 장애 등 다른 병과 혼동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전문의의 진단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 실제적 혹은 상상 속에서 버림받지 않기 위해 미친 듯이 노력함
- 과대 이상화와 과소평가의 극단 사이를 반복, 불안정한 대인관계
- 자기 이미지 또는 자신에 대한 느낌의 현저하고 지속적인 불안정성
- 자신을 손상할 가능성이 있는 최소 두 가지 이상의 경우에서 충동성
- 반복적 자살 행동, 제스처, 위협 또는 자해 행동
- 격렬한 삽화적 불쾌함, 과민성 불안
- 만성적인 공허감
- 심하게 화를 내거나 화를 조절하지 못함
- 스트레스와 연관된 피해적 사고 또는 해리 증상
치료 방법
경계성 인격장애는 상담을 통한 치료가 가장 중요합니다. 이외에 인지행동 치료와 약물 치료를 시행합니다. 약물치료는 경계성 인격장애를 치료할 수는 없지만 상담치료와 함께 진행한다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경계성 인격장애는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우울증, 물질사용 장애, 식이 장애, 양극성 장애 등과 같이 발생하기 쉽습니다.